안녕하세요~!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면접인 화상 면접에 대한 구직자의 니즈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실제로 국내 10곳의 기업 중 6곳은 비대면 채용을 운영하고 있다고 전달했어요. 인공지능을 활용한 AI 역량 검사도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오늘은 AI 면접에 대한 꿀팁이 아닌 비대면/화상면접에 대한 팁을 드리려고 해요.
1. 대면 면접보다 어려운 게 화상 면접입니다.
기본적으로 여러분들이 회사에 면접을 본다고 생각해 봐요. 주어진 시간에 주어진 장소에 입장해서 면접을 보며, 면접관에 깔끔하게 보이기 위해서 정장도 새로 샀을지도 모르죠. 하지만 화상 면접이라면, 면접장이 곧 내방이 되니 배경도 깔끔해야 하고 카메라 각도 등등 신경 써야 할 부분들이 많아요. 난이도로만 따지면 화상면접이 대면 면접보다 어려운 면접이랍니다. 특히 면접관의 비언어적인 표현이나 면접의 흐름에 대한 파악은 면접을 볼 때 굉장히 중요한 요소인데요, 화상으로 진행하는 면접은 파악하기가 어려우니 편한 점은 오히려 없어야 하죠. 따라서 화상면접을 준비할 때는 기본적으로 내가 어떻게 비치는지와 면접관의 표정에도 집중을 해야 해요.
2. 대화를 할 때는 아이컨택과 리액션이 중요합니다.
대화를 할 때는 당연히 눈을 보고 대화를 하죠. 화상으로 대화할 때는 어디를 바라보는 것이 중요할까요? 면접관 입장에서 구직자가 아이컨택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해요. 따라서 우리는 화면에 비치는 면접관의 눈이 아니라, 화상면접을 진행하는 핸드폰, 노트북, 태블릿 등등에 있는 카메라와 아이컨택하는것을 연습해 주셔야 해요. (물론 커닝 페이퍼의 위치도 카메라 옆이어야 티가 덜 나겠죠!)
또한 화상이다 보니, 면접관도 말하면서 자신이 하고 있는 말이 구직자에게 잘 전달됐는지 확인하고 싶어 해요. 따라서 화상으로 면접을 진행할 때는 실제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되도록이면 와이파이보다는 랜선이 연결되어 있는즉, 네트워크가 잘 활성화되어있는 장소가 필요하며, 고개를 끄덕이는 제스처로 충분히 이해하고 들리고 있음을 비추며 의사소통이 잘 되고 있음을 면접관이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해요.
3. 무조건 ‘두괄식’ 답변을 해주셔야 합니다.
두괄식이란, 말의 시작에 답변을 하는 스킬을 말해요. 두괄식 답변은 비단 화상면접에 대한 팁이 아니라 대면 면접을 볼 때도 매우 중요한 요소랍니다. 면접에서 면접관은 구직자가 하는 답변을 듣고만 있지 않아요. 직무에 따른 질문을 하기도 하고 메모도 하며 면접관의 대답을 듣죠. 문제는, 대면 면접보다 화상면접은 면접관도 집중력을 잃기 더욱 쉽다는 것이에요. 따라서 면접을 볼 때는 꼭 ‘두괄식’으로 답변을 해서 하고 싶은 말을 임팩트 있게 먼저 전달해서 준비한 내용들에 면접관이 충분히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4. 꼭 사전 연습해야 합니다.
화상면접을 진행할 기계를 통해 동영상을 꼭 녹화해 보세요. 굳이 화상 면접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면접을 볼 때도 개인이 가지고 있는 습관( 입술을 깨물거나, 생각할 때 위를 보는 행위 등등)이 있어요. 직접 만나서 손동작이나 비언어적인 표현들을 볼 수 있는 대면 면접과 다르게 화상으로 면접을 보게 되면, 앞서 언급한 좋지 않은 면접 습관이 더욱 부각돼 보인답니다. 따라서 안 좋은 습관도 꼭 고치셔야 하며, 표정 변화를 다채롭게 준비해 주세요. 평소보다도 더욱 활짝 웃는 습관도 좋겠죠.
공식 홈페이지
1:1 맞춤 취업, 프로모트
1:1 맞춤 취업 프로모트가 모든 과정을 함께 합니다.
www.promote.kr
'실전 면접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CX 직무의 핵심 역량과 반드시 준비할 면접 질문 3가지 (0) | 2022.05.23 |
---|---|
CS직무의 핵심 역량과 꼭 나오는 면접 질문 (0) | 2022.05.16 |
MD 면접을 준비하는 법과 핵심 역량 (0) | 2022.04.22 |
마케터의 핵심 역량과 면접 질문 해석하기 (0) | 2022.04.06 |
인사(HR) 팀 면접을 본다면 꼭 봐야 하는 글 (0) | 2022.03.23 |